작가검색

작품이미지

오윤 吳潤Oh Yoon

1946 ~ 1986

한국

판화·조소

작가약력

  • 1946∼1986. 조각가·판화가.
  • 학력
  • 1971년 서울대학교 조소과 학사
  • 기관 경력
  • 1976년 청년사 발간도서에 삽화 및 표지화 제작
  • 1980년 현실과 발언 창립 동인
  • 1982년-1984년 김호득 등과 서대문 미술학원 운영
  • 1984년 풀빛출판사 시선집에 10여편 표지판화 제작 계약
  • 전시
  • 1980년, 현실과 발언 창립전, 동산방 화랑
  • 1981년, 도시와 시각전, 롯데 미술관
  • 1981년, 현대미술워크샵 기획전, 동덕 미술관
  • 1982년, 화가 조각가 19인 판화전, 서울 미술관
  • 1984년, 시대정신전, 전국 9개 도시
  • 1986년, JAALA 주관의 제3세계 미술전
  • 1986년, 개인전, 그림마당 민
  • 1986년, 새로운 구상 화가 11인전, 롯데 미술관
  • 1986년, 현실과발언 동인전, 롯데 미술관, 덕수 미술관, 관훈 미술관, 아랍 미술관
  • 1986년, 봄판화전, 제3 미술관
  • 1986년, 40대의 22인전, 그림마당 민
  • 1986년, 삶의 미술전
  • 1986년, 유작전, 대구 맥향 화랑
  • 1987년, 민중미술전, 캐나다 A Space
  • 1996년, 유작전, 학고재
  • 1996년, 유작전, 아트스페이스 서울
  • 1996년, 판화관련자료와 소묘전시회, 아트스페이스 서울
  • 1996년, 性卽理 性卽淫전, 동산방 화랑
  • 1996년, 9월 전통과 현실의 작가 17인전, 학고재

작가 소개

본관은 해주(海州). 부산에서 소설가 오영수(吳永壽)의 장남으로 출생하였다. 1970년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조소과를 졸업하였으나 사회참여적인 목판화 작업에 주력하였다.
서울대학교 재학시절인 1965년 김윤수(金潤洙), 김지하(金芝河), 오경환(吳京煥), 임세택(林世澤)과 함께 『현실동인전』을 준비했으나 학교 교수들과 보안당국에 의해 제지당하여 무산되고 1년간 휴학을 하였다.
군대를 제대한 후인 1972년부터 1975년까지는 경기도 고양시 내유동과 일산, 그리고 경주에서 테라코타 작업을 하면서 전통미술을 연구하였다. 이 시기 서울 상업은행 구의동 지점 실내 테라코타 부조벽화와 동대문 지점 외벽의 테라코타 부조벽화를 제작하였다.
1976년에는 서울 수유동 가오리에 작업실을 열고 이듬해부터 선화예술학교에서 조소를 가르치기 시작했으며, 다수의 책표지와 삽화를 제작하였다.
1979년 ‘현실과 발언’ 발기인으로 참여하였고, 1980년서울의 동산방화랑에서 제1회 『현실과 발언 동인전』에 마케팅 연작을 발표하였다. 1981년에는 제2회 『현실과 발언 동인전-도시와 시각전-』에 가족연작을 출품하는 등 현실과 발언 동인전에 작품을 꾸준히 출품하며 민중미술 운동에 참여하였다.
1983년까지는 거의 흑백 목판화로 일관하였으나 1984년부터는 흑백 판화의 고수에서 벗어나 간결한 장식적 색상을 도입한 작업으로 표현 이미지를 새롭게 변화시키기 시작했다. 1985년에는 대형 걸개그림인 「통일대원도」를 제작하였다. 그러나 이듬해 지병인 간경화가 악화되어 요절하였다.
오윤의 판화작품은 초기의 「낫을 든 사람」, 「헐벗은 사람」 등의 연작으로부터 1970년대의 「지리산」, 「탈춤」, 「할머니」, 1980년대의 「동학」, 「농부와 아들」, 「여공」, 「지옥도」 등 빈민 계층과 농민의 삶을 소재로 삼은 것이 많았고, 이밖에 「대지」, 「봄의 소리」 등은 자연 사랑과 민담·설화 및 현대 한국사의 단면들을 주제로 삼은 작품들도 있다. 또 김지하(金芝河)의 담시집(譚詩集) 『오적(五賊)』과 이원수(李元壽)의 전래 동화집 『땅속나라 도둑귀신』의 판화 삽화와 표지화를 비롯하여 정치적 민주화 운동 및 투쟁을 지원한 포스터와 대형 걸개그림을 제작하기도 하였다. 동인지 『현실과 발언』(1985)에는 오윤의 미술의식을 서술한 「미술적 상상력과 세계의 확대」가 실렸다.
1996년 10주기 추모전으로 대구의 맥향 화랑의 『오윤 판화전』과 서울 학고재의 『오윤-동네사람 세상사람-』이 열렸으며, 2006년 20주기 회고전으로 국립현대미술관의『오윤-낮도깨비 신명마당』과 서울 가나아트센터의 『오윤/대지1965∼1986』이 개최되었다. 2005년에는 정부로부터 옥관문화훈장을 받았다.
오윤은 현실주의에 입각하여 사회 현실을 비판하고 이를 민족 형식으로 계승하고 발전시킨 민중미술의 대표 작가이다. 그가 활동했던 한국의 1980년대는 군사정권과 자본주의 체제의 모순이 격하되었던 시기였다. 그는 짧은 생애 동안 현실 속에서 고통 받으며 우리 사회를 만들어가고 있는 평범한 사람들에 관한 이야기를 판화를 주 매체로 하여 독자적인 조형언어로 기록해 내었다. 특히 그는 리얼리즘에 대한 시각을 가졌으나 1980년대 중반부터 명상이나 민중의식, 과학문명의 배제를 통한 상상력의 확대를 통해 「리얼리즘과 신비주의」, 「한과 심명」, 「초월성과 중력」 등을 대치시키고 그 균형 위에 독자적인 세계관을 구축하였다. 그러므로 현실비판이라는 리얼리즘의 시각에서 초월적인 「한(恨)」의 정서로 표출한 두루마리 형식의 대작 <원귀도>(1984)의 경우도 같은 맥락에서 해석될 수 있다. 두루마리 형식으로 제작된 이 작품은 미완성 작이나 당시 한국전쟁을 정면으로 다루었다는 주체적 측면을 떠나서도 한국현대사의 비극과 민중의 「한」을 파노라마 식으로 보여주는 작품으로 그 의미가 크다. 특히 동학혁명, 한국전쟁, 5월 민중항쟁 등 한국역사의 비극적 상황 속에서 희생된 민중의 모습이 한을 품고 죽은 귀신들의 형상으로 그려져 있다. 매우 비극적인 상황이지만 작가는 서술적 시간의 구상과 미묘한 색채, 기(氣)의 형상화를 통해 담담하고 따뜻한 작가적 감성을 엿볼 수 있도록 하였다.
출처/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국립현대미술관, 월간미술

작가의 경매 작품

제 53회 장터경매

제 47회 장터경매

제34회 I Contact 온라인경매

제33회 I Contact 온라인경매

제32회 I Contact 온라인경매

제31회 I Contact 온라인경매

제30회 I Contact 온라인경매

제29회 I Contact 온라인경매

제 49회 여름경매

제7회 I Contact 온라인경매

제 27회 장터경매

제 35회 겨울경매